금융

금리와 인플레이션

Slowpoke7 2023. 7. 2. 21:14
반응형

요즘 빚이 많은 사람이 많다

나도 빚이 있다.

 

코19가 발생한 2020년까지만 해도..

계속 초 저금리를 이어 왔었다..

 

시작은 아마.. 

미국 부동산 맛탱이 가면서..

서브프라임모기지가 터지면서..

금리를 제로금리까지 떨어트렸다.

 

 

 

 

 

2009년부터 제로금리가 되고..

2015년까지 제로금리를 하다가..

 

2016년부터 조금씩 금리를 올렸다..

2019년에 2% 초반까지 올라온 금리..

그런데.. 그때 저신용도 회사가 돈을 빌릴때 기준이 되는 대출금리가 막~뛰면서..

뭔가 위험할수도 있겠다고 느낀 파월은 선제적으로 금리를 내렸다..

아마.. 0.25%씩 3번 내렸던거 같다.

그래서 1%때 후반 금리가 되었는데..

갑자기 2020년에 코19가 터지고..

한방에 제로금리로 가버린다..ㄷㄷ

그리고 약 2년간 제로금리를 하다가..

2022년부터 금리를 올리기 시작..

현재는 5.25% 올랐다..

 

미국 기준금리
미국 기준금리

 

5.25%는 의미가 있는 구간이다..

전 고점이 미국 부동산터질때의 금리가

5.25%라서.. 그래프로 보면 쌍봉이 완성된다.

 

쌍봉나왔으니까

그럼 하락이겠네??

라고 하겠는데..

 

내 견해는 

이런거다..

만약 금리를 5%에서 멈추기 길게 가져갔다면..

만약에 그러다가 금리를 내렸다면..

전고점이 5.25% 였고..

이번 고점이 5% 였으니까...

  "하락추세구나..."

그렇게 생각이 될테지만..

 

난 이게 일종의 신호라고 생각이 된다..

현재 5.25%라는건..

쌍봉을 말하는게 아니라..

하락추세가 아니라는걸 말해준 신호라는거다.

(중장기적 추세를 말함)

최소 박스권이 되겠지..

 

그런데.. 전 고점을 뚫으러~

0.25% 한번 더 올려서

5.50%가 된다면...

금리는 상승추세로 변하게 된다.

이번 7월 fomc에서 그냥 1번만 더 올리면

추세가 또 바껴 버린다..

  박스 ==> 상승

 

지금이7월이니까..

하반기 시작인데..

하반기는 상반기보다

작년대비(YoY)  물가지표가 덜 떨어질거라 예상한다.

왜냐하면 작년 상반기가 물가 오름폭이 더 컸기 때문이다.

 

그래서 금리를 올려서

5.50%이 되는건.. 가능 할 것 같다.

 

현재 분위기는

  "2번 정도 더 올린다"

인데..

2번까지는 나도 잘 모르겠다..

5.50%는.. 

개인적으로 파월의 목표금리 였다고 생각이 든다.

(금리도 상승추세로 그림을 만들었고..)

그래서.. 5.50% 부터는.. 파월의 재량이다..

FOMC의 재량이다..

 

일단 목표값엔 도달을 했고..

나머지는 더 올리든 멈추든..

그냥 상황봐서 하면 된는것이다

  "그냥 대충 해도 될듯??"

 

뭐.. 힘들어지면

금리가 하락하겠지만..

하락이 제로금리까지 가지 않을거라 예상되며..

다시 또 금리를 올리게 될거라 생각된다..

(상승 추세)

 

..2030년까지 상승추세가 될까??

 

 

 

 

 

생각해보니..

제로금리라는게..

한..10~20년은 우려먹은 느낌이였는데..

막상 보니까..

한.. 8년~9년 정도??

10년도 채우지 않고 끝난거였다.

 

뭐.. 또 엄청난 큰 사건이 터진다면

또 다시 갈수도 있겠지만..

반응형

'금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특례보금자리론 신청 마감 될듯  (4) 2023.05.15
코린이의 코인 실패담  (1) 2023.05.10
카드포인트 현금화  (0) 2021.01.09
배당주 추천  (0) 2020.12.20
은행금리 비교  (0) 2020.12.13